노후 거주할 집으로 어디가 좋을까요? 해외에서도 한번 살아볼까...나라별 정리

부동산공부 2015. 3. 13. 02:48

그동안 자식들 키우느라 먹을 것 못먹고 고생해서, 여기까지 키우고

한국 경제를 이끄신 분들이 은퇴하면서 걱정하는 가장 큰 걱정은 노후이겠습니다.

그럼 노후 중에서도 무슨 걱정을 하실까요??


바로 살 집입니다. 노후에 살 집. 거주공간... 의식주에서 가장 중요한 주 입니다.


이제 좀 조용한 교외같은 곳에서 조용히 살면서, 낚시나 독서같은 여가나 즐길까 하는 생각도 하시고요. 

꿈같은 낭민이지요^^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돈입니다. 그놈의 돈이....^^





 

그렇다면 노후에 거주해야 할 집, 즉 주거지는 어디가 좋을까요?


대다수 리서치조사에서 나온 설문지를 보시면 알겠지만, 노후를 생활에서 빡빡한 대도시나 이런것을 선호하시지는 않습니다.  그냥 약간의 운치가 있고, 마음이 편안한 곳을 선호하는 것이지요...그런데 그냥 그냥 낭만이 젖으셔서 단순히 전원주택에 대한 절대적인 로망만 가지고 계신분도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 조심하셔야 할 것이 인적이 전혀 없는 완전 외진곳 같은 곳에 있는 전원주택 같은 경우는 집은 낭만적일지 모르나,,, 교통이 불편하고 생활시설과 문화시설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나 생필품 하나를 장만하려 할때 차를 끌고 한참을 가야 한다면....오히려 낭만이 고통으로 다가올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병이라도 얻게되어 병원신세를 져야 한다면, 아픈데다가 왕복까지 신경써야 하면 여간 고역이 아닙니다. 

그러니 단순히 로맨틱 전원주택 로망만 바라보실게 아니라, 문화, 의료시설 같은 것으 고려대상이 넣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단순히 집 겉모습만 보고, 멋진 집이라고 덜컥 계약했다가.... 몇 달후에 팔려고 해도 나가지 않아서, 울며 겨자먹기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자 그렇다면 노후생활에 적합한 곳은 어디로 생각해 보고 접근해야할까요?


제일 먼저 살기 좋은 곳을 선택해야겠지요. 남향집이고, 너무 도시에서 떨어지지 않은 도시와 접근성이 있는 곳이 좋습니다. 위에서도 말씀했듯이 낭만만으로 사는 것이 아니므로, 병원, 생활시설, 편의시설, 문화시설이 작게나마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소도시라도 말이지요...그래서 전문가들은 도시와 완전히 떨어진 너무 적막하고 조용한 시골보다는 약간 중소형급 도시 근처를 추천하기도 합니다. 



전원주택, 펜션을 구입할 때 조심해야할 점은 자신의 전 재산 몰빵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최악의 경우, 새로운 거주공간이 마음에 안 들어서 다시 도시로 이주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어느정도 팔릴 수 있는 지역을 고려해봐야 합니다. 만약 안 팔리거나 하면 그 집1채에 모든 재산이 묶여 있게 됩니다. 아시다시피 부동산은 환금성이 떨어지는 것 아시죠?^^

그래서 서서히 익숙해지거나, 연습겸해서 주말주택, 주말농장에세 경험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도시에 어느정도의 자산을 남겨두고 서서히 접근하는게 좋습니다. 또한 집을 지을 때는 과다한 건축비보다는 적정한 최소비용으로 지출하여 세금, 관리비를 줄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수도권지역으로는 성남, 경기도 광주, 용인, 남양주, 양평, 가평, 연천 정도를 언급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요새는 귀농귀촌종합센터 http://www.returnfarm.com 라는 곳도 있으니, 농가주택 커뮤니티 매물정보나 지자체의 농어촌빈집정보센터 같은 것을 활용해서 정보를 수집한다면, 남보다 더 좋은 부동산을 손에 넣을 수도 있겠습니다. 소형 농가주택은 1억 근처에서 매매가능하다고 하니, 약간의 리모델링만 거친다면 오히려 저렴하게 새집 느낌을 줄수도 있겠습니다. 





노후대비 집 , 해외 부동산은 어떤가?


지금까지는 국내 부동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그렇다면 노후에 외국에 거주하면서, 외국에서 노후를 보내는 것을 생각하는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전문가들이 주로 추천하는 곳은 동남아 지역입니다. 





태국

태국은 아직까지 태국부동산 법률상으로 외국인이 부동산을 구입하기는 어렵게 되어있다합니다. 그러므로 굳이 구입을 하시겠다면, 어쩔수 없이 현지인 명의를 빌려서 구입하는 방법을 해야 하는데요...

그래서 조금 알려진 방식인...토지 임대부 콘도가 있습니다. 이것은 외국인이 살면서, 단순히 건물만 소유하는 것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진정한 소유는 아니라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외국인 투자 법인을 생각하셔서, 법인을 설립했다면 태국인51%, 외국인49%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구매는 할 수 있지만, 이것또한 복잡합니다. 

이래저래 태국은 전반적으로 외국인 부동산 소유에 대해서 거부하는 정책이 강하므로. 어쩔수 없이 태국같은 경우는 직접적으로 구매하는 방법보다는 임대로 들어가 사는게 낫다고 합니다. 노후생활에 부담안되는 약간의 월세로 생활 하는 것이지요...이래저래 태국의 장점이라면 뭐니뭐니 해도 부담되지 않는 물가와, 좋은 날씨, 기후조건이라 할 수 있겠지요...그래서 선호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싱가포르

세계적인 싱가포르... 인구는 얼마 안되는 도시국가인데... 국민소득은 상당하지요...게다가 인프라도 상당히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외국인들을 위한 것들도 잘 갖추어져 있고요.. 높은 교육수준 또한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그러나 싱가포르의 물가는 저렴하다고 할수 없다고 합니다. 서울의 도시급 정도의 지출을 생각해야 한다고 하니, 어느정도 노후대비가 잘 되신 분이나 자금의 여유가 있으시다면 고려대상에 넣어볼만 합니다. 동남아시아의 물가로 생각하시면 안되기 때문이지요... 그러나 상대적으로 윤택한 생활보다 좋은 인프라와 교육에 초점을 맞추신다면, 싱가포르 같은 경우는 버스나 지하철 같은 교통체제가 잘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잘 이용하시면 생활에 크게 불편함은 없다고들 합니다. 



말레이시아

외국인에 대한 약간의 배려가 있습니다. 외국인이 부동산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집값 70% 정도까지 대출이.... 금리 5%정도 내외로 가능하다고 하니, 눈여겨 볼만합니다. 게다가 증여세 , 상속세가 없다고 하니.. 말레이시아도 생각해 보는 것도.. 괜찮을 듯 하옵니다. 



호주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학도 많이 가 있고, 선망의 대상이기도 합니다. 좋은 자연환경과 윤택한 생활을 말이지요..

호주에서 부동산을 구매하려 하신다면, 한국에 직장이 가지고 있으면서, 동시에 소득이 증명된다면 호주의 은행이 주택가격의 80%까지 모기지론을 해준다고 합니다. 

더군다나 외국인의 부동산 투자시 호주 내국인과 비슷한류의 조세감면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특히나 부동산 매각 양도세는 없으나 매각시 증가한 소득을 기점으로 소득세를 부과됩니다. 호주에 대한 정보는 다른 동남아시아보다 많이들 있으니 다양하게 조사하시면 정보를 쉽게 얻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노후의 집 으로 해외 거주 요약정리


해외 부동산 투자는 언어, 세금 심지어 환율까지도 고려해 봐야 합니다. 해외 노후에 살 집 또한 단순히 멋진 로망있는 집에 혹해서 계약을 썼다간, 고생할 수 있겠지요....천연자원이 풍부하고, 이민자에게 배타적이지 않고, 치안이 안정된 곳이라면 일단 1차 합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의료비나 주거비, 음식료가 부담안되는 수용할 수 있는 적정선에 있거나 여러가지 한국보다 장점이 있어야 겠지요.... 일단 한국보다 장점은 뛰어난 자연환경이나 싼 물가 때문에 해외를 생각해 보는 거겠지만 말입니다^^

조금이나 팁아닌 팁이라면 어느나라나 대도시라면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대도시 위주로 접근하신다면 조금이나마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한번 생각해 봅니다. 한국과 다르게 정보가 없다면 맨땅에 헤딩하는 식의 무모한 모험이 될 수 있으니, 만약 해외에서 노후에 살 집이나 거주를 생각하신다면요... 장기적인 기간을 두고, 착실하게 정보를 수집하고 준비하셔야 겠습니다.....

한국에 계시면서, 1년에 몇 차례 왔다갔다 하면서 끊임없이 관심갖고 정보를 수집하고 하셔야 사기를 당하거나 그렇지 않습니다. 투자는 조심조심 또 조심 그리고 심사숙고를 하셔서 신중한 투자를 하셔야 겠습니다. 게다가 해외투자라면 더욱더 그렇겠지요^^



해외의 부동산은 그 나라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고위험 투자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나라에 대해서 잘 공부하시고 준비한다면 오히려 더 좋은 투자일 수도 있겠습니다.^^. 





- 이상 저의 글이 조금 도움되셨다면, 공감버튼을.. 꾸욱..... 부탁드려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