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날먹는음식 , 뭐라고들 알고 계시나요? 삼계탕 ? 그런데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왜 그럴까요? 복날은 왜 삼계탕일까요?

아무거나 이야기 2015. 1. 15. 00:50

복날, 복날 !!!! 몸보신 해야 한다, 

삼계탕맛집 찾으러 다니시는 분들 많습니다. 한방삼계탕 부터 시작해서, 어느곳은 삼계탕재료 가 가히 푸짐한 곳도 있습니다^^ 

삼계탕효능 으로 한번 섭취하면 배가 다 든든하지요


복날이란 

음력6월~7월 사이에 들어있는 세 번의 절기로써 

첫번째 복날=초복, 

두번째 복날=중복, 

세번째 복날=말복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복날에 삼계탕을 먹어야 한다는 소리. 복날만 되면은 삼계탕집에는 난리가 납니다. 닭백숙 한마리 잡수시려고 장사진을 이루는데요.^^


하트3근데 갑자기 궁금하시지 않나요? 

복날음식 은 삼계탕이라는 공식은 과연 왜 그럴까요?


전통적으로 조상님들은 최고의 복날 음식으로 팥죽과 보신탕을 택하셨습니다. 

팥죽의 이유는 귀신이 개와 팥 을 무서워하고, 음양오행에 적합하기 때문이 이유라 합니다.

 또한 동양 쪽에서는 새벽 닭이 울면 밤새 활동하는 귀신이 사라지는 이유때문에 닭은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의 능력이 있다 믿었습니다. 


??

그런데 아이러니 하게도 조선시대 옛날 여러 문헌을 찾아보면 복날음식으로 삼계탕이 나오지는 않는다고 하는데요....그것은 지금이야 인삼을 대량 재배해서, 고가의 음식이 아니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인삼은 아주 아주 귀한 것이었지요. 

인삼이 약재였기 때문 쉽게 닭에다가 넣어 먹을 수 있는 대중적인 것은 아니었지요. 또한 약재이었기 때문에 가격도 상당 했습니다. 그래서 감히 음식에 넣어 먹을 수 있는 재료로 허락될 수가 없는 상황? ^^ 이었던 것이었죠.


따라서 현대에 와서야 삼계탕이 보편화 된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현대인들은 예전보다 좋아져서 어떤 면에서는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는데, 인간은 항상 불만족하고 불만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예전에는 비싼 삼계탕을, 지금은 일반 서민도 사먹을 수 있으니까요...^^


그러니, 복날에 역시나 삼계탕을 먹으러 가야겠지요^^


- 이상 저의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아래에 공감버튼을~~눌러주심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