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정기예금 세금우대, 비과세 완전정리
예금자보호 5000만원까지 한도입니다.
즉 은행에 예금을 하시려면 이자합쳐서 5천만원까지만 나라에서 보증을 해줍니다.
1. 보통 정기예금을 하면 15.4% (이자소득세)=소득세15%+주민세1.4% 를 내야 합니다.
2. 세금우대 9.5% 부과 (소득세9%+농특세0.5%) = 정식명칭은 세금우대종합저축 ................전 금융기관 합산 (신협,새마을금고 포함) 최대1000만원한도
단, 만20세이상, 1년이상
예외로 한도 3000만원가능자 1> 60세이상 2> 장애인 3> 고엽제환자 4> 5.18운동대상자 5> 독립유공자 6> 기초생활수급자
3. 비과세 농어촌특별세(농특세) 1.4%만 부과 - 정식명칭 세금우대 저축........... 최대 3000만원까지 가능
상품가입기간에 제한이 없음
제1금융권(국민,신한,NH농협 등) 제외한 상호금융기관 (신협,새마을금고,농협,축협,수협,산림조합)만 가능
(해당지역거주자일것, 준조합원 출자금 몇 만원정도 냄)
4. 완전 비과세인 경우(세금하나도 없음)
생계형저축 = 60세이상 노인 가입 (최대한도 3000만원)
10년이상 저축성보험, 장기주택마련저축, 신협의 조합원 출자금 정도처럼 특수한 상황에만 해당됩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돈을 가지고 있으면 오히려 손해입니다. 일본은 마이너스금리인데, 우리나라도 그짝 나지 않는 다는 보장이 있겠습니까요? 우리나라 IMF시절 10% 되었던 시절도 있었는데, 지금은 계속된 이율의 하락으로 어디 은행에 맡겨봐야, 내 돈의 가치는 하강....투자의 시대인가 봅니다.
저의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다면 댓글 및 공감버튼 부탁드려요
'재테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일은행 스탠다드차티드 에서 달러로 인터넷뱅킹 국내송금 가능할까요? (0) | 2015.11.12 |
---|---|
금투자 경험담, 투자의 시대에 다양한 상품에 투자전략 , 종자돈 마련 도전 (0) | 2015.10.25 |
산업은행 정기예금 금리 물어보았습니다. (0) | 2015.10.01 |
예금자보호 5천만원 원금 이자 포함인가요? (0) | 2015.10.01 |
신협 이율 , 요새 어찌되나요? 신협 정기예금 이랑 정기적금 팜플릿 (0)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