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국민연금 , 내 소득의 얼마를 내야 하는 건가요?
국민연금에 대한 기록을 어디다가 적어야 할까 고민을 해보았는데요.
저의 블로그가 재테크와 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주 메인으로 할까 하는데~
이 국민연금 같은 경우는 딱히 금융상품이라 할 수도 없고, 무슨 투자라고 할 수도 없고~~
과연, 어디다 적어야 할지~
글이 그래도 나름대로 목록별로 정리를 해야 나중에 보기도 편하고 말이죠^^
준조세의 느낌도 나고, 강제성이 있으니까요.. 해서 세금 카테고리에 염치불구하고 넣어보았습니다.^^
실직이나 폐업 같은 특수한 상황이 발생했을때는, 부과하는 연금을 축소시키거나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할 경우는 관련서류를 국민연금에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일의 다음 달분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간단한 전화번호 국번없이 1355 도 있으니 이용하면 편리할 것 같습니다.
한달에 한번 국민연금을 내야 하는데요. 내는 금액은?
나의 신고 소득금액 * 9% = 연금보험료 입니다.
내 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매달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회사다니시는 근로자분들은 반반씩 내서, 사업자(사장님) 4.5%, 근로자(나) 4.5% 내가 그렇게 부담이 안될수도 있는데요.
개인 사업자분(작가, 프리랜서) 는 혼자서 9%를 내야 해서 상당히 부담이 될수가 있습니다.
논외로~~
제 아는 지인은, 직업이 작가이셨는데. 회사에 다닐때는 근로자라서 국민연금을 반반씩 부담했는데요.
회사를 그만두고, 소일거리로 먹고사는 프리랜서로 전향하자(초반에 일거리도 거의 없어서 몇 십만원짜리 일거리로 거의 입에 풀칠하는데)
그 작가님 혼자서 국민연금 9%를 내야 해서, 국민연금 원래 내던 것에서 2배나 더 내야 한다고 하더라고요.
수입은 줄었는데, 오히려 국민연금 내야 할 돈은 2배로 늘어나니..~~
정말정말 상당히 부담이 된다고 하시더라고요~~
이와 비슷하게
건강보험부과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http://www.naeil.com/news_view/?id_art=171047
이상 저의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다면 댓글 및 공감버튼 부탁드려요^^
'세금TA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산세 납부시기 , 언제일까요? 재산세 납부기한 은? (0) | 2016.09.20 |
---|---|
부동산 관련 세금 정리 (0) | 2016.09.01 |
과세표준 계산 하는 법 정리, 과세표준세율 참고하면서 예시로 공부 (0) | 2015.10.27 |
소득세 ,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정리 (2) | 2015.10.22 |
조세의 분류를 정리해 봤습니다. (0) | 2015.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