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2개, 투넘버 사용하고 싶은데 무엇을 해야 할까요?

유용한 생활정보 2015. 3. 25. 13:35

사업하시거나, 여러일을 하시는분 들은 번호 1개 가지고는 부족함을 느껴서, 번호가 2개 필요한 경우가 있을 때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번호랑, 사업용(영업용)번호를 같이 쓰면 사생활이 없어지기 때문이지요...그렇다면 번호가 2개 필요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단 전혀 추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방법은,  안드로이드 어플중에 '투넘버 플러스이 어플을 다운받아 실행하면 본인 핸드폰에 또 하나의 가상 번호가 생깁니다.




 즉 기존에 쓰고 있는 번호에다가 하나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는데, 특별히 비용이 들거나 하진 않습니다. 다만 새로발급받은 신생번호는 번호시작하는 숫자가 050-xxx로 시작한다는 점과, 전화 받는 것만 가능하다는 점 정도이겠네요. 그래도 뭐 공짜로 그럭저럭 쓰실분은 쓸만합니다^^ 전 한번 써봤다가 050-xxx라고 사람들한테 알려주니까..... 스팸으로 인식하더라고요ㅋㅋㅋ

 010으로 시작하는게 아니니까. ㅎㅎㅎ 그리고 제가 직접 걸수는 없고... 받는 용도만 가능해서 결국 이 어플은 포기... ^^



자 그럼 본격적으로 알아봅시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뭘까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아예 휴대폰 1대를 더 장만해서, 2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장점으로는 아시다시피, 계정의 완전한 분리로 인해서,,,휴대폰을 완전 따로 관리하기때문에 둘 사이의 정보가 완전 개별관리되겠네요^^ 

그러나 요새 가입하시는 분들은 아시다시피 거의 다 요금제가 LTE요금제인데, 2대 합치면 요금이 꽤 되겠지요. 상당한 요금출혈이 예상됩니다. ㅠ.ㅠ 뭐 요금은 그렇다 쳐도 또한 2대를 다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번거롭고 무겁습니다.  


제가 말씀드릴 내용은 바로 기존 사용하시는 휴대폰 1대에다가 번호만 추가하는 방식과  제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유심칩이용 방법을 말씀드릴까합니다. 



일단 첫번째 방법인 휴대폰 1대에 2개의 번호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통신사마다 이름이 달라 딱히 공통된 명칭이 있는 것은 아니고요. SK, KT, LG 각각 서비스의 명칭이 각각 다릅니다. 약간이나마 공통점을 찾자면, 보통 번호를 2개 사용하니 two number(투넘버) 이런식의 용어가 들어가는 서비스입니다. 직접 각 통신사 홈페이지 가서 확인해봤습니다.^^


sk 넘버플러스II 

(sk이용자만가능함) 한달 이용요금 3500원인데요,  부가세포함하면  3850원이 되겠네요. 

 기존 쓰시던 요금제에다가 3850원의 추가비용을 지불하는 것입니다. 


일단 이용방법은 114통화후 가입신청을 합니다. 넘버플러스 라는 어플을 다운받습니다.(안드로이드 어플에는 없고요, SK T스토어에만 있다합니다) 그 다음 어플 설치 후 기본적인 것을 설치합니다. 

저기 보이시나요? <나의번호>랑 <플러스넘버> 두가지가 있죠. 저기 <플러스넘버> 오른쪽에 빨간색 제가 체크해 놓은 ON버튼 누르면 OFF로 바껴서 on이랑off 모드로 왔다갔다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각 다른 벨소리로 저장이 가능하니까요. 다른 벨소리로 저장해 두신다면, 플러스번호로 전화가 온건지 내 원래 번호로 온것인지 구분이 가능합니다. 


어플을 이용하시면 간단히 해결되고요. 어플을 이용안하신다면

전화걸때, 문자보낼때마다 *281 번호를 누르셔야 한다고 합니다^^


kt 투넘버플러스 

한달 3천원이용료로 부가세합이 3000원 입니다. 번호 앞에다가 *77 붙이면 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제3자에게 전화가 올 경우(수신)에 최초 원번호로 걸었을때랑, 두번째 세컨드 번호로 걸었을 경우랑 확인이 불가합니다. 영업용 번호+개인번호 이렇게 만약 두개를 사용하신다면, 영업용으로 전화가 왔을때 응대해야 하는데, 무슨 번호를 보고 걸었나 모른다 이거요. ㅠ.ㅠ

이거 아주 불편합니다ㅠ.ㅠ 이것을 알아야 어떤번호를 보고 연락했는지 알고 적절히 대응(?) 할일도 생기는에 말이지요.^^ 그다지 땡기지는 않네요. 



lg 듀얼넘버 

한달 3천원 이고, 부가세합치면 3300원입니다.

전화를 그냥 걸면 원래 나의 번호가 상대방휴대폰에 찍히고,

만약 *77# 를 먼저 누르고 통화버튼 누른다면, 상대방휴대폰에 듀얼번호(두번째번호)가 찍힌다고 합니다.

상대방이 나에게 원래 나의 번호로 걸은 경우는 그냥 아무 표시없고 번호만 찍히는데, 만약 상대방이 나의 듀얼번호(두번째번호)로 건다면 번호뒤에 #이 찍혀있습니다



뭐 장단점이 있는듯하나, 부가서비스면에서는 약간 sk가 우위가 있긴합니다^^ 참고로 전 sk랑 아무 상관없습니다^^ 뭐 적절하게 자기한테 맞는거 이용하시면 되겠지요^^

그리고 현재 카톡은 다 막아둔 상태라, 듀얼넘버를 하셔도 카카오톡을 따로 부가적으로 이용하실수는 없습니다^^


투넘버 서비스 내용정리

위에서 말한 3가지 종류의 통신사별 서비스는 한개의 휴대폰(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니면서, 약간의 추가비용 부담하면 번호 하나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장점입니다. 일단 원래 들고다니시던 1개의 휴대폰을 들고다니는 거라 그다지 불편함은 없습니다. 

다만 단점으로는 기술적으로 완벽히 분리되게 만들어놓은 서비스가 아니라서, 하나의 휴대폰안에 2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지만, 따로 정확히 관리되거나 하진 않는거 같네요.

 문자가 첫번째 원래 번호, 추가 번호로 와도...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경우도 있고요. 또한 요새같은 경우는 카톡으로 많이들 연락을 하는데, 카톡의 정책상 1개만 허용하므로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는 듯합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휴대폰을 하나 더 개통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도 말씀했다시피 그냥 폰 사듯이 구입해서 LTE요금제라도 추가로 하나 더 한다면, 요금 부담이 엄청날듯합니다

...그래서 제가 이용하는 것은 선불요금제라는 것인데... 요금적으로 그다지 부담이 안되는 선에서 이용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것을 소개해 드릴까 하네요. 



저같은 경우는 1개의 남는 공기계가 있어서, 그 휴대폰을 하나 더 개통했습니다. 그러나 이 개통이 일반적인 보통의 휴대폰 요금제가 아니라, KT olleh에서 하는 선불요금제가 있습니다. 


선불요금제가 무엇이냐? 미리 요금 결제를 한 다음에, 새로운 유심칩을 따로 발급받아서 그 공기계에 꽂아서 사용하는 방법이지요. 

이것의 장점이 요금적인 면에서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다 이겁니다. 단 공기계가 있다는 가정이겠지요^^


 olleh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해 본 결과

1만 결제하면  3만원충전 +유심무료 (6개월사용)

2만 결제하면  5만 충전+유심무료 (1년가능)

5만 결제하면  10만충전 +유심무료(2년가능)

KT끼리 무료통화 조금 제공하고요. 몇분인지는 까먹었네요. ㅎㅎ 이벤트기간이라 무료유심도 뿌리는듯 합니다. 


결국 만약 1만원 결제를 한다면 1만원 충전으로(6개월사용이므로, 1만원 나누기 6개월) 1개월동안 평균1500원 정도의 지출로 휴대폰을 이용하는 것이지요. 3,4천원대의 부담보다는 나름 완벽히 문자, 통화, 번호가 완벽히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나름 괜찮은것 같습니다. 물론 받는거 거는거 다 가능합니다. 일반 전화하는 것랑 똑같으니까요^^

나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ARS1500번으로 걸면 남은금액, 남은기간 언제든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제가 유심칩을 두번째 사용중인데요.. 하나의 저의 경험담을 공유할까 합니다.

 무료통화가 많이 남은 상태로 사용기간이 만기가 되면?  아무리 무료통화가 남아있다 한들 이월이 되지 않으므로 그대로 땡입니다. 


그래서 만약 한번 이용하신 요금을 다 만료가 된다면, 다시 요금을 재충전을 해야합니다. 

 올레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조사를 해보니, 기존의 쓰던 유심을 유지하면서 요금제를 재충전을 하려고 60일 기준 = 1만원 하더라구요. 갑자기 요금이 초반때보다 재충전은 금액면에서 팍 뛰었네요. ㅠ.ㅠ흥5


그래서 이걸 연장(재충전)해서, 추가 요금제를 쓰는것보다는 아예 또 다른 선불유심을 발급받는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새로 선불유심을 발급받으면, 새로운 번호를 다시 발급받게 되는것이지요. 

 서비스센터 직원에게 직접 방문해서 문의해보니까,  직접방문 후 결제하면 2000원 요금부터 결제가능 / 인터넷 결제하면 5000원부터 결제가능하다네요 , 왜 이런정보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안 올려두는건지. 참.



선불유심기간이 만기가 얼마 안 남으면 kt에서 알림 문자가 옵니다. 쓸때마다 요금 얼마 남았다고도 문자로 날라옵니다. 이건 좋은것 같습니다^^


기간 만료가 되서, 사용정지가 되서, 새로 선불유심을 또 하나 신청해서 기존의 유심은 버리고, 새로운 유심침을 꼽았습니다. 그다음에 kt에 전화를 해서 유심 등록해 달라고 말합니다. 


뭐 한번 해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일사천리로 진행을 했지요. kt에서 등록되었다고 이제 사용하시면 된다고 해서 전 전원을 켰는데 안되는 겁니다. 그리고 유심을 꽂고 3,4번 정도는 다시 껐다켜야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서 , 저는 다시 껐다 켰습니다. 그런데 다시 껐다 켰는데도 등록이 안되는겁니다. 3일동안 계속 해봤는데도 안되서 결국 상담원에 전화해서 물어봅니다. 


여러번의 상담원 통화 , 상담사 최모양, 김모양 통화했다가 유심관련 부서로 넘겨준다보 권모양. 김모양 무려 4명으로 건너다니고 있는 상태로 슬슬 약간 짜증이 났습니다. 이게 뭐하는 짓인지..결국 마지막에 친절한 정모양에게 상담을 받았지요. 


한 10분은 통화한듯. 원인을 몰라 계속 통화해서 겨우 알아냈습니다.  유심이 일시정지된상태라, 전에 쓰던것을 해지해야된다고 합니다. 기간이 만료되면 폰 사용이 아예 끝나는게 아니라 일시정지로 묶여있는 상태인가 봅니다. 그래서 직접방문해서 일시정지상태가 아닌 해지상태로 만들어야 한답니다. 그것때문에 새로 추가로 발급받은 유심이 안되었던 것이었다고 하네요. 뭐 이런 경우가 다 있는지 쩝....

 

결국 직접 지점을 재 방문해서 일시정지를 해지상태로 만들고, 결국 새로운 선불 유심을 사용하는 중입니다. 이것때문에 며칠 고생했네요. ㅠ.ㅠ 정리하자면, 이미 유심칩을 쓰시고 계시다가, 새로 발급받을 일이 있으시다면, 일시정지가 아니라 해지상태를 먼저 하시고 다시 발급받으셔야 한다 이겁니다...^^


이상 저의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다면 공감버튼 및 댓글을 부탁드려요^^